loading

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소설원작의 영화 82년생 김지영은 개봉했을 당시 이슈가 많이 되었던 작품으로 1982년에 태어난 대한민국의 평범한 여성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생각과 상황들을 표현하였고 영화를 보면서 공감되는 부분이 많았습니다. 김지영이라는 이름도 김 씨가 가장 많으며 지영이라는 이름도 흔한 이름으로 평범한 여성을 설정하기 위해 지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주인공

    배우 정유미는 주인공 김지영역으로 결혼 후 아이를 빨리 가지게 되면서 회사를 그만두고 육아를 전담하게 됩니다. 점점 자신의 모습이 사라지는것에 우울함을 느끼고 시댁의 스트레스와 육아에 대한 스트레스로 빙의 증상을 겪으면서 남편과 함께 정신과에 가게 됩니다. 배우 공유는 지영의 남편 대현역할로 아내를 많이 도우려고 애를 쓰지만 남편으로서의 역할과 아들로서의 역할 사이에서 현실적인 상황을 보여줍니다. 빙의가 온 아내를 돕기 위해 육아휴직을 내려하지만 어머니의 반대로 갈등을 빚습니다.

     

    작품내용

    주인공 지영은 국문과를 졸업하고 회사에 취직을 하게 됩니다. 회사의 상사인 부장님을 보며 롤모델로 삼고 있었고 부서이동을 겪으면서 여자라서 부당한 대우를 받았다고 오해하지만 오히려 결혼으로 힘들어질 지영의 상황을 배려한 것이었습니다. 지영은 아이를 낳고 육아와 회사일을 병행하기 힘들어지고 결국 퇴사를 하고 육아에 전념합니다. 지영은 육아를 하며 무기력함에 빠지고 이상한 행동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명절에는 시댁식구들은 시누이를 반기면서 정작 지영을 친정에 보낼 생각은 하지 않는 모습을 보며 지영은 본인의 엄마에 빙의되어 시어머니에게 속마음을 이야기합니다. 빙의 증상이 심해지자 남편은 지영을 정신과에 데리고 가지만 정작 지영은 본인 상태의 심각성을 잘 인식하지 못합니다. 지영의 가족은 삼 남매로 언니와 남동생이 있었고 지영은 둘째로 자랐습니다. 아버지는 가부장적인 분이셨고 어머니는 식당을 운영하셨는데 막내가 아들이라는 이유로 어려서부터 많이 챙겼고 지영은 어려서부터 그런 모습을 싫어했습니다. 지영은 엄마들과의 모임에는 잘 어울리지 못하고 아르바이트라도 하고 싶었지만 아이를 생각하다 포기하게 되었습니다. 글을 쓰기 시작하면서 자신의 모습을 되찾게 되고 잡지사에 글을 보내면서 잡지회사에서 일할 기회가 생깁니다. 남편은 육아휴직을 내고 지영을 취직하라고 지원하지만 시어머니의 반대로 지영은 또다시 좌절을 겪게 됩니다. 지영의 빙의 증세가 점점 더 심해지고 그 모습을 카메라에 담아 남편이 보여주자 지영은 그제야 자신의 증상이 심각함을 인식하게 됩니다. 그 후 아이가 조금 크고 지영은 다시 밝은 모습을 되찾은 것으로 영화를 결말짓게 됩니다.

    소감

    요즘 시대에 결혼과 출산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이유를 현실감 있게 영화에 담았다고 생각합니다. 배우 정유미는 엄마의 역할을 맡아 간절하고 먹먹함을 느낄 수 있도록 연기를 해서 공감이 더욱 잘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점점 감정이 고조되는 배우의 연기력에 울컥하는 감정을 함께 느낄 수 있었고 섬세하고 디테일한 연기를 잘 소화해 몰입도를 증가시켰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남편역할의 공유는 남편의 입장도 이해를 할 수 있었습니다. 회사일을 마치고 돌아와 집안일을 도와야 하는것도 쉬운 일만은 아니고 아내를 집에서 아이를 보고 집안일을 하게 하여 우울증에 빠지게 한 것이 자기의 탓이 아닌가라는 생각에 미안한 마음이 들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보통 80년대 여자들은 어린 시절 여자라고 공부를 덜 시키거나 남자에 차별을 당하기보다는 같은 대우를 받고 귀하게 큰 경우의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결혼을 하고 만나게 된 시어머니들은 거의 50년대생으로 가부장적인 집안에서 여자가 집안일을 도맡아 하는 환경에서 생활을 해 오신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렇게 다른 분위기에서 자라고 성인이 되어 시어머니와 며느리로 만나게 되었을 때 부딪히는 요소가 더욱 많은 세대인 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시어머니들의 시대에는 결혼해서 아이 낳고 전업주부의 역할을 당연시 받아들였다면 80년 대생들은 자신의 능력을 키워 사회의 일원으로 한몫을 하며 인정받고 싶어 하는 욕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환경적인 요소들로 인해 서로 더 부딪힐 수밖에 없는 상황들도 영화에 드러났다고 생각하고 보면서 공감이 많이 되었습니다.

    반응형